제주4·3 77주년 희생자 위령제 개최…200여명 참석
재일제주인 유족 "특별법 개정·가족관계 정리" 당부
70여년 전 4·3의 광풍을 피해 제주를 떠나 일본 오사카에 정착한 재일제주인들이 4·3 희생자들을 추모했다.
재일본제주4·3희생자위령제실행위원회는 20일 일본 오사카 텐노지구 통국사에서 '제주4·3 77주년 희생자 위령제'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오광현 재일본제주4·3희생자유족회장과 최고령 유족인 고춘자(84) 할머니 등 재일제주인 유족을 비롯해 김종민 제주4·3평화재단 이사장, 양성주 제주4·3희생자유족회 상임부회장, 김인영 제주도 특별자치행정국장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4·3 당시 오사카에는 제주를 떠난 1만여명이 정착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재일제주인 1세대와 그 후손들은 오사카에서 4·3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연구를 꾸준히 이어왔다. 이들은 지난 1993년 도쿄에서 처음 위령제를 연 이후 1998년부터 오사카에서도 위령제를 개최하기 시작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4·3의 남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당부를 전하기도 했다.
일본에서 4·3 진상규명 연구를 이어오고 있는 문경수 리츠메이칸대 명예교수는 이날 위령제에서 "4·3특별법 개정 과정에서 재일제주인 관련 논의는 빠져 있다"며 "4·3특별법에 재일제주인 관련 내용이 포함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4·3 당시 가족을 잃었지만 가족관계 정리가 되지 않아 유족으로 인정받지 못한 고춘자 할머니는 "이렇게 매년 제사를 해주고 함께 기도해 줘서 감사하다"면서도 "아직 가족관계가 정리되지 않아 유족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데, 복잡한 과정이지만 한국에서 호적 정리에 힘써줬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오광현 재일본제주4·3희생자유족회장은 추도사를 통해 "'불관용'과 '증오'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제주4·3이 가르쳐 준 평화, 인권, 공생을 재확인해야 한다"며 "일본 내 유족이 아무리 소수라 하더라도 그 존재를 소중히 지킴으로써 모든 사람의 존재가 소중히 지켜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도는 이날 위령제에서 유족 안내 부스를 운영해 영사관을 통한 보상금 및 가족관계 정정 신청 접수 방법을 설명했다. 도에 따르면 현재 주오사카대한민국총영사를 통한 보상금 접수는 927건이 이뤄졌고, 이 중 132건이 지급 결정됐다.
제주 윤동원 기자